코로나 방전과 스파크 방전의 두 가지 형태의 펄스 방전을 사용하여 페놀을 처리하여 첨가제를 주입후 같은 실험을 수행하여 페놀의 제거율 관찰하였으며, 방전 중에 발생하는 UV 에 의한 광화학산화에 대하여 관찰되어진 논문을 발표하였고 (Japan)에서는 스텐레스의 바늘을 사용하여 전극 사이 2cm 간격을 두어 스트리머방전 를 생성시켜 물속에서 펄스 스트리머방전을 이용하여 조류를 제거하였다.
이외에 방전 중에 발생하는 UV에 의한 광화학산화에 대하여 관찰되어진 발표논문만 있을 뿐 그에 대한 기술력은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2005년 네넬란드 아인트호벤에서 열린 제27회 ICPIG 국제 학술회의에서 초청연사로 발표한 Pavel Sunka 박사의 그룹에서도 물속 방전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 그룹에서는 특히 지름 60mm, 길이 100mm인 금속 전극에다공성 세라믹을 코팅하여 5~20mS/cm의 에서 실험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커패시터의 값은 500nF 이며, 30kV에서 방전 하였다.
사용된 고전압 스위치는 트리거스파크 간격 스위치이다. 방전이 일어날 때 중심부에서는압력이 100MPa 까지 이르며, 주변부에 서는 25MPa 정도로 공동(cavitation) 현상을 일으킨다. 이때 발생되는 공동현상이 붕괴하여 2차적으로 매우 짧은 파장의 충격파를 발생 시키며, 이 충격파로 인해 부분적인 동물의 부드러운조직이 손상을 입는 현상을 관찰 하였다.
최근에는 물속에 개별적인 두개의 독립펄스 파워 시스템으로 두개의 전극을 방전시켜 충격파의 중첩 현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래 그림은 물속 전극 주변 코로나 방전 사진을 나타낸다.
Romania(루마니아), 그룹은 물속 방전과 전자빔을 물에 조사할 때 물속에서 얼마나많은 양의 산화물질들 즉, 오존, 과산화수소, 자외선이 생성되는지 실험을 하였다. 물속 방전 조건은 35kV/50A, 펄스폭 1000n Second, 200Hz로 방전 하였으며, 전자빔은 2kGy/min 으로 각각 6분씩 실험하였다. 또한 두개의 방법을 중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림5는 측정 방법과 실험에서 사용된 물의 조건이 명확히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물속에서 매우 많은 산화 물질들이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이를 통해서 조류와 같은 미생물을 제거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